반응형

<사건의 발단>


연구실에 있는 외국인 석사과정이 2주 전에 레노버 E540 노트북을 샀다가 최근에 윈도우8 부팅이 안되고 블루스크린이 떠서, 서비스를 받아야겠다고 나한테 대신 전화로 서비스 신청을 부탁했었다. (아직 한국어를 못하니까)


그러면서 나한테 바로 대전에 있는 레노버서비스센터 전화번호라면서 알려주길래 (070-xxxx-053x) 바로 전화를 했다. 나중에 알아보니 서대전 쪽에 있는 지점인 듯 했다. 처음에 전화를 받은 직원은 내가 설명한 문제점을 듣더니, 일단 다른 서비스센터에 전화해 보라면서 번호를 알려줬는데 내가 그 번호를 잘못 들은 것이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080-513-0880 이라고 말하는 것을 내가 080-5131-0880 이라고 잘못 알아듣는 바람에 한번 더 전화번호만 확인하려고 다시 방금 전의 대전 서비스센터에 전화를 걸었는데, 이번에는 다른 직원이 전화를 받았다. 그런데 그 사람에게 내가 서비스센터 번호를 잘못 들어서 한번만 더 불러주실 수 있냐고 말했는데, 알려주기는커녕 "그건 114에 전화해서 알아보세요" 라고 자기 할말만 하고는 내 말을 더 들을 새도 없이 전화를 바로 끊어버렸다.


이쯤에서 더 전화하지 않고 그냥 인터넷 검색을 해서 대표번호를 찾을 생각을 했었다면 더 기분나쁠 일이 없었을 텐데, 할말이 남은 고객을 무시하고 끊은 사실이 어이가 없어서 다시 전화를 했다.

다시 전화했더니 불행하게도 바로 전에 성의없이 끊은 그 직원이 다시 받더라는... 그래서 "그 센터에 있는 다른 직원분이 알려준 번호가 있는데 그걸 한번 더 확인만 하면 되는데 왜 안알려주는지" 말하고 있었는데, 정말 내 귀를 의심하게 하는 말이 수화기를 통해서 흘러나왔다.


"그건 니가 실수한 거잖아, 114에 전화해서 알아보라고~!"


(?!?!?)


서비스센터 직원이 고객한테 대놓고 반말을 지껄이는 상황이 너무 황당해서 그냥 아무말 없이 10초 가량 그냥 있었다.

그랬더니 마지막으로 또 이렇게 말하고 자기가 스스로 전화를 끊었다.

"...114에 전화해서 알아봐" (뚝)


여기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생각해 봤을 때, 내가 서비스센터 직원의 입장에서는 너무 당연한 것을 가지고 귀찮게 했을 수는 있다. 이후로 114에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어쩌면 114에서 다른 번호를 안내해줬을 지도 모르겠다. 나중에 확인해 보니 중국에서 조선족이 응대하는 레노버 서비스센터 대표번호가 따로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서비스센터에서 고객한테 대놓고 반말이라니? 게다가 나는 반말 한마디 없이 존대해 가면서 방금 잘못 들은 번호 한번 알려달라는 작은 요청을 한 것 뿐인데, 이것이 센터직원한테서 반말로 짜증을 들을 정도로 진상짓인가? 게다가 순간적으로 욱해서 한번 반말한 것도 모자라서, 아무말 않고 있으니까 끝까지 반말로 마무리를 하는 서비스센터가 또 어디에 있을까?

내 목소리가 조금 어리게 들리기도 하고, 남한테 피해 주고 싶지 않아서 (수많은 전화상담하는 감정노동자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있다) 조곤조곤 부탁하는 투로 말했더니 적반하장으로 상사 귀찮게 하는 부하마냥 고객을 다루는 것은 어디서 배워먹은 버르장머리일까? 기가 막힌다.


일단 외국인 석사과정의 부탁부터 빨리 처리해야 해서 레노버 본사 서비스센터 전화번호를 검색해서 서비스 신청을 해 보니, 소프트웨어 문제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 문제가 같이 맞물려 있을 수도 있는데, 하드웨어 문제로 판단될 경우에는 지역 서비스센터에 가서 해결해야 한다는 대답을 들었다. 결국 반말을 지껄인 서비스센터에 가서 문제를 살펴봐야 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사안인데도 그 서비스센터는 어떻게 고객 응대를 이따위로 할 수 있는지 어이가 없다.


오히려 레노버 본사 서비스센터에 있는 조선족 담당직원은 한국어가 여전히 어려울지언정 이따위 안하무인 식으로 고객 응대를 하지는 않았다. 어디 하소연할 곳이 없어서 본사 조선족 담당직원에게 방금 반말 들은 서비스센터 이름과 전화번호, 주소를 알려주면서 시정되도록 신고해 달라고 했는데, 되려 조선족 담당직원이 나한테 거듭 죄송하다고 사과를 하더라...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인터넷에 찾아보니 레노버 서비스센터의 불친절은 나만 당한 것이 아니라 예전부터 지역을 불문하고 전국적으로 (심지어 미국에서까지도) 악명이 자자한 듯 하다. 국내에 레노버 본사가 직영하는 서비스센터가 따로 없고, 다 아웃소싱으로 다른 업체에 맡기다 보니까 제대로 관리가 안되는 것 같다 예상된다.


이렇게 당하고 보니까 삼성전자나 LG전자와 같은 국내 대기업 서비스센터의 고객응대는 정말 놀랍도록 친절한 것이었다. 국내 대기업의 경우에는 적어도 담당직원의 불친절 사례에 대해서 신고할 수 있는 창구도 따로 마련되어 있고, 개별 직원에 대한 서비스품질 평가도 자체적으로 하니까 고객응대의 질이 당연히 높아지는 구조인데 레노버는 중국 본사에서 한국어 겨우 할 줄 아는 조선족 직원들을 통해서는 제대로 관리가 안될 것이 뻔하다. 이렇게 윗선에서 제대로 통제를 안하니까 지역 서비스센터는 자기들 마음대로 하고, 그래도 아무 제재를 당하지 않는 것 아닐까?


어쨌든, 고객과 상담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자기 기분나쁘고 귀찮다고 얼굴도 나이도 모르는 고객에게 짜증섞인 반말을 하고 멋대로 전화를 끊는 천박한 인성을 가졌다는 것이 놀랍다. 도대체 이 직원은 무슨 생각으로 그 서비스센터에서 일하는 것인지?

딱히 신고할 곳도 없으므로 이렇게 글로라도 남겨서 다른 사람들이 레노버서비스센터의 불친절을 조금이라도 더 인지하고, 혹시라도 해당 서비스센터에 있는 본인이 이 글을 봐서라도 그따위 못배운 인성을 고치기를 바랄 뿐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테스트한 Eclipse version: JUNO


이클립스(Eclipse IDE)를 쓰다가 느 날, 왼쪽의 Package Explorer 창에서 각 프로젝트 옆에 표시되는 SVN 관련 정보 (revision 번호, SVN repository 주소 등)가 사라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설정을 바꾸지 않는데도 이렇게 갑자기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 이상하지만, 어쨌든 이클립스를 새로 설치할 필요 없이 설정을 변경해서 다시 복구할 수 있다.



(1)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 선택


(2) General > Appearance > Label Decorations 선택

오른편에서 "SVN" 항목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면, 체크해서 선택한다.





추가로, SVN 관련 표시에 대한 설정(글자색, 아이콘 등)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Team > SVN > Label Decorations 에 가면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Note: 임신 초중반까지만 포스팅하고 바빠서 거의 못하는 바람에, 중간단계 모두 뛰어넘고 

생후 3개월째에 접어드는 아기에 대한 내용부터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ㅜㅜ)


10월 23일에 출산을 하고, 산후조리원에 있던 시간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부터 본격적인 육아전쟁이 시작되었다. ㅠㅠ


다행히 아직까지 아기가 아픈 적은 없었고, 초반에는 원래 밤에 아기가 자주 깬다고 하는 얘기를 많이 들었기에 어느정도 마음의 준비를 했었다. 아내가 집에 상주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아기와 보내고, 내가 평일 밤과 주말에 집에서 목욕과 청소 등 잡일들을 도와주는 식으로 해 왔는데, 이렇게 집에서 한달 조금 넘게 지내 보니까 아기가 언제 우는지 대략 정리가 되는 것 같았다. (문제는 이제 3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원인이 파악되지 않는 경우가 생겼다는 것.. ㅜㅜ)


일단 현재까지 "남편의 입장에서" 겪어본 바에 의하면 아기가 우는 대표적인 원인은 아래와 같다:


1. 배고파서 운다.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너무나도 당연한 것인데... 항목을 나눠서 쓰니까 민망하다. ^^;; 하지만 현재까지(생후 2개월까지)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경우이고, 앞으로도 한동안은 여전히 빈도수가 높을 것이다. 아기가 울면서 혀를 자주 내밀고 아기 입가에 부모가 손가락을 가져갔을 때 고개를 손가락 있는 쪽으로 돌리면서 먹으려고 한다면 거의 배고픈 경우이다. 우리집의 경우에는 아내가 모유가 어느 정도 차서 수유가 가능한 상태라면 모유수유를 시키고, 그렇지 않거나 늦은 밤에 푹 재우려고 할 때는 젖병에 분유를 타서 먹이고 있다. 경험상 모유는 빨리 소화가 돼서 금방 깨고, 분유를 충분히 먹이면 푹 자는 것 같다.


2. 기저귀 갈아줘야 될 때

  배변을 하고 나서 찝찝하거나 불편할 때 우는 경우가 배고픈 경우를 제외하면 가장 많았다. 특히 응가를 하고 나서 기저귀를 갈아 주지 않으면 반드시 우는 듯 했다. 그런데 소변을 보고 나서는 가끔 울지 않고 그냥 가만히 있기도 하더라는... 모유든 분유든 주고 나면 2~3시간 안에 소변이든 대변이든 기저귀를 한번은 갈아야 한다. 특히 하루에 한번 또는 이틀에 한번은 대변을 크게(...) 본다.


3. 잠투정

  아기가 졸려서 눈이 천근만근 감기려고 하면서 동시에 찡찡거리면서 우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잠투정은 아기마다 정도의 차이가 다를 것 같은데, 우리 아기의 경우에는 시간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ㅠㅠ) 두 가지 방법으로 어찌어찌 해결하고 있다. 하나는 투정부리면서 울다가 스르륵 잠들 때까지 그냥 품에 안고 기다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에 해당되는데 아내가 같이 누워서 젖을 물리는 것이다. 모유수유를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있다 보면 젖을 빨다 말고 잠이 드는데, 그러면 젖을 그만 물리고 그대로 재우면 된다.



  위의 세 가지는 상황에 따라 명백하게 파악이 되고, 그 원인을 제거해 주면 금방 해결이 되는 것들이다. 예를 들면, 배가 고파서 분유를 타서 먹이고 나서 안고 있다가 잠이 들었길래 내버려 뒀더니 한시간쯤 후에 깨서 울고 있다면, 일단 기저귀를 열어 보면 십중팔구 소변이나 대변을 한 상태이므로 기저귀를 갈아 준다. 기저귀를 갈아주고 나서 한동안 혼자 잘 놀다가 또 울기 시작한다면, 장에 있던 것들이 빠져나가면서 배가 허전해져서 다시 배가 고프다는 신호로 생각하면 대체로 들어맞는다. (적어도 2개월 말까지는 확실했다 ㅠㅠ)

  그런데 3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이제 위의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데도 울거나 찡찡거리는 경우가 생기기 시작했다. 좀더 겪어봐야 알 것 같아서 확신이 없지만, 나름대로 추가적인 원인을 추측해 보면 아래와 같다:


4. 심심해서(...)

  아기가 3개월째가 되니까, 아직 제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하면서도 두리번거리며 주변 환경을 호기심을 갖고 관찰하기 시작하고, 옹알이도 시작되었다 (그냥 "아", "우" 같은 소리를 내거나 "히" 하고 웃는 정도). 분명히 젖을 먹인지도 얼마 되지 않았고, 기저귀도 갈아주었고, 졸리지도 않아 보이는데 혼자 내버려 두면 찡찡 우는 경우가 몇번 있었다.

  이 때 아기침대에 눕혀 놓고 흑백 모빌을 보게 해 주거나 (아직 3개월째라서 색은 구분하지 못하고, 4개월~12개월 사이에 시력이 크게 발달하면서 색을 구분한다고 한다), 안아주면서 이리저리 돌아다녀 보니 (방과 거실을 왔다갔다 하면서 말 시키기) 아기가 울지 않고 옹알이하면서 혼자 잘 놀았다.


5. 영아산통(?)

  아직 영아산통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ㅜㅜ 그나마 통용되는 얘기 중에 모유든 분유든(특히 분유) 젖을 먹이고 나서 한두시간 후에 배가 아파서 우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모든 아기가 또 그렇지는 않다고 한다. 아마 내장기관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서 그럴 것이라는 추측이 그나마 설득력이 있다. 영아산통 때문에 울면 달래 줘도 길게는 3시간까지도 운다고 하니까 가급적이면 아기가 영아산통을 겪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우는 아기가 젖을 먹으려고 하지도 않고, 기저귀도 깨끗하고, 잠을 자려고 하지도 않고, 이리저리 얼르고 달래는데도 투정을 부리며 찡찡거리면서 우는 경우가 생기고 있어서 (그렇게 길지는 않고 한 시간 정도), 혹시 영아산통은 아닐까 걱정하고 있다.


번외. 여전히 배고파서(?)

  이미 위에 첫번째 이유로 썼는데도 또 쓰는 이유는, 아기가 조금씩 크면서 먹는 양이 늘어나는 줄 모르고 똑같은 분량의 젖을 먹이게 되면서 아기가 양이 충분하지 못해서 더 달라고 우는 상황을 겪었기 때문이다.

  바로 위의 영아산통에 대해서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다 보면 자꾸 왜 우는지 고민에 빠지게 되는데, 다시 단순한 이유로 돌아가서 젖을 조금 더 먹이면 괜찮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우리 아기의 경우에는 한번에 많은 양을 다 먹지 않고, 조금씩 나눠서 먹다 보니 가끔 원인 파악이 잘 안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중에 좀더 커서도 한번에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입이 짧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되기도 하는데, 나중에 정말 그런 모습을 보이면 마음이 아프더라도 아내와 내가 눈 딱 감고 식사 때 말고는 밥을 굶기는 극약처방을 한번쯤 해야 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윈도우(Windows)에서 내 컴퓨터에 들어가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옵션이 있다. 이것을 이용해서 Synology DiskStation과 같은 NAS 장비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예: 윈도우7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버튼)



그런데 랩에서 사용하는 Synology Diskstation에서 특정 폴더는 모든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폴더이고, 다른 어떤 폴더는 내 계정에서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폴더이다.


이 두 경우에 대해서 다른 계정을 쓰고 싶은데 (e.g. 공유 폴더의 경우 admin, 개별 폴더의 경우 개인 계정), 윈도우에서는 같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서버에 대해서 다른 계정을 쓰지 못하도록 막아놓은 것 같다.


시도해 본 결과, 윈도우 7에서는 아래와 같은 오류 메세지를 내보내며 같은 서버에 대해서 둘 이상의 계정 사용을 금지하였다:

C:\Users\skylit>net use \\XXX.XXX.XXX.XXX\shared_folder /user:admin

'XXX.XXX.XXX.XXX'에 연결하기 위해 'admin'의 암호 입력 :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C:\Users\skylit>net use \\XXX.XXX.XXX.XXX\private_folder /user:skylit

시스템 오류 1219이(가) 생겼습니다.


동일한 사용자가 둘 이상의 사용자 이름으로 서버 또는 공유 리소스에 다중 연결할 수 없습니다. 서버나 공유 리소스에 대한 이전 연결을 모두 끊고 다시 시도하십시오.



보안상의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연구실에서 쓰는 NAS는 IP주소와 함께 동시에 도메인 네임 주소도 갖고 있다. 그래서 한 폴더는 IP 주소를 가지고 연결하고, 다른 폴더는 도메인 네임 주소(DNS)로 각각 다른 계정을 써서 연결했더니, 뜻밖에 둘다 연결이 되었다!!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다:

참고용으로 IP 주소는 111.222.111.222, 도메인 네임 주소는 mydomain.com 이라고 정의하였다.

C:\Users\skylit>net use \\111.222.111.222\shared_folder /user:admin

'111.222.111.222'에 연결하기 위해 'admin'의 암호 입력 :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C:\Users\skylit>net use \\mydomain.com\private_folder /user:skylit

'mydomain.com'에 연결하기 위해 'skylit'의 암호 입력 :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콘솔 창 명령어를 통해서 예를 들었지만, "내 컴퓨터" 창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할 때에도 같은 방법으로 IP주소와 DNS주소에 대해서 각각 다른 계정을 쓰도록(다른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연결) 하면 된다.





그 결과, 아래 그림과 같이 2개는 같은 서버에 있지만 계정을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접근하는 폴더 위치도 다르고 허용 가능한 용량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위의 2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같은 서버이지만, 계정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용량도 차별할 수 있게 되었다.)



특정 서버의 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알고 싶으면, 커맨드 라인 콘솔창에서 아래 명령을 활용하면 된다:

> nslookup XXX.XXX.XXX.XXX

nslookup mydomain.com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연구 목적으로 compat-wireless 패키지에 들어 있는 Qualcomm Atheros 칩셋 중 하나인 ath9k의 소스코드를 고치고 있는데,아무리 봐도 내가 원하는 기능을 해당 코드에서 달성할 수 없는 것 같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레벨보다 더 하위 레벨로 내려가야 할 것 같아서 찾아보니, 내가 갖고 있는 USB 랜카드(TP-LINK TL-WN722N)는 htc_9271.fw 라는 이름의 펌웨어를 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해당 펌웨어의 소스코드가 있는지 찾아 보니, 반갑게도 Qualcomm Atheros에서 htc 9271 펌웨어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git에 올려 놓았다.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하면 ath9k 펌웨어 개발 환경을 얻을 수 있다. (주의사항: ath9k 디바이스 드라이버와는 다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compat-wireless 소스코드를 받아서 빌드해야 한다.)



1. Git에서 소스코드 다운받기 (https://github.com/qca/open-ath9k-htc-firmware)

 $ git clone https://github.com/qca/open-ath9k-htc-firmware



2. make 명령으로 toolchain 다운받고 설치하기

 $ cd ./open-ath9k-htc-firmware

 $ make toolchain

(한참 걸린다. 약 30분~1시간)



3. Firmware 빌드하기 

(참고로 cmake가 필요하다. 없으면 sudo apt-get install cmake 로 설치하자.)

 $ make -C target_firmware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4. open-ath9k-htc-firmware/target_firmware 디렉토리에 .fw 파일이 생성되어 있으면 빌드 성공.

htc_9271.fw 파일을 /lib/firmware/ 에 복사한 뒤에, 기존에 설치된 ath9k_htc 커널 모듈을 지우고 재설치한다.

$ sudo cp htc_9271.fw /lib/firmware/

$ sudo rmmod ath9k_htc

$ sudo modprobe ath9k_htc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