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네트워크 연결'에서 원하는 네트워크의 속성에 간다.
- 연결에 사용할 장치에 랜카드의 이름이 나오고, 옆에 [구성...] 단추를 클릭.
- 고급 탭에 가면 속성 목록에 Network Address 또는 Override Network Address가 있다. 선택하고 '없음'으로 선택된 것을 '값'으로 바꾸고 원하는 맥 주소를 입력한 뒤 확인.
-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리셋된다. 이후 커맨드 창에서 ipconfig /all 명령을 통해 맥 주소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원상복구는 설정창에서 다시 '없음'을 선택해줄 것.


인텔 계열은 설정창 모양이 달라서 안될 수도 있다. =_=
이 때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하는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lass\{4D36E972-E325-11CE-BFC1-08002bE10318}

위 경로까지 가서 랜카드 이름의 일부분으로(Realtek RTL8168) 키값 검색을 하거나, 0000부터 있는 하위의 여러 키들 중에서 DriverDesc에 원하는 랜카드 이름이 적힌 키를 찾는다.
그 안에서 NetworkAddress라는 이름으로 DWORD값을 만든 후에 원하는 맥 주소를 입력해줄 것.
원상복구하려면 생성한 NetworkAddress값을 지워줄 것.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연다.
그리고 eth0 세팅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예) eth0 카드의 고정IP주소가 192.168.0.100,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가 192.168.0.1, 그리고 도메인네임 서버가 220.90.215.11일 경우: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0.100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0.1
dns-nameserver 220.90.215.11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명령으로 네트워크 재시작.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윈도우를 부팅할 때나 사용중에 실행되는 수많은 프로세스들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여기 윈도우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모아 놓은 페이지를 소개하고 싶다.

http://www.liutilities.com/products/wintaskspro/processlibrary/application/

위 페이지에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때 등록되는 시작프로그램, 윈도우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 필수적인 중요한 프로세스부터 악성코드와 바이러스까지 모든 프로세스의 이름과 설명이 총망라되어 있다.
Top Security Risks 메뉴에는 시스템에 위험한 악성프로그램들이,
Top System Processes 메뉴에는 윈도우에 매우 중요한 시스템 프로세스들이,
Top Applications 메뉴에는 각종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이 알파벳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영어울렁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좀 불편할 수도 있지만, 어떤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인지는 이해할 수 있도록 짧고 간단한 설명이 맨 위의 파란 상자 안에 적혀 있으니 그것만 봐도 충분하다.
평소에 본 적이 없는 낯선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을 때 그 정체가 궁금하다면 이 사이트를 이용해 보아요!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pragma는 컴파일할 때 지정해 주는 사항들에 대한 표현이다.
라이브러리를 첨부하거나 컴파일 하는 동안 보여주는 경고 일부를 무시하는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pragma comment(lib, "ws2_32.lib")

이것은 ws2_32.lib 파일을 컴파일 시에 추가하겠다는 의미이다.
VS .NET이나 Visual C++ .NET을 쓸 때 프로젝트 속성 창을 통해 설정해줄 수도 있는데,
솔루션이름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 - 속성 -> 구성 속성 - 링커 - 입력 에 온 뒤
오른쪽 창의 '추가 종속성' 부분에 ws2_32.lib파일을 적어 주는 것과 같다.

.NET에서 이런 설정을 해 주지 않으면 include가 제대로 되어 있어도
'symbol' 외부 기호('function' 함수에서 참조)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와 같은 링크 에러(LNK2019)를 발생시킨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Related work를 비롯해서 관련 분야의 연구논문을 찾아서 조사할 경우는 많이 있다.


비슷한 연구주제로 여러 편의 논문을 찾을 수도 있지만 일단은 미국, 유럽 등 영어가 익숙한 지역의 논문부터 찾도록 하자.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많은 논문을 얻을 수 있지만, 모국어가 영어이거나 라틴 계열인 사람이 쓴 영어논문보다 표현이 딸리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


그 다음 논문이 어느 institute(대학교 or 연구실)에서 쓰여진 것인지 살펴보자. 전산 쪽이라면 CMU, MIT 같이 연구의 동향을 이끄는 곳들의 논문부터 보는 게 당연히 유리하다.


DBLP라는 사이트에서 유명한 학회나 저널 이름으로 검색해 보고, 그 학회나 저널에서 각 연도마다 발표/출판된 논문들의 제목을 한 눈에 보는 것도 효율적인 방법이다.

DBLP는 학회나 저널 이름 외에도 연구자의 이름으로도 검색할 수 있으므로, 특정 연구분야에서의 저명한 연구자가 파악이 되었으면 그 연구자의 이름으로 최근까지 출판된 논문들을 보는 것도 트렌드가 흘러가는 방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