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Virtual Machine Manager 0.9.5-1ubuntu3

KVM: 미확인 (sudo apt-get install kvm 으로 2015년 9월 초에 설치)


우분투에서 virt-manager를 통해서 가상머신을 관리하다가, 시스템 관련 중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한 차례 하고 재부팅을 하고 나서 한동안 PlayOnLinux 를 통해서 한컴오피스 2014를 설치하였다.


그러고 나서 가상 머신을 켜기 위해 virt-manager를 실행했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왔다:

Unable to connect to libvirt.


Verify that:

 - The 'libvirt-bin' package is installed

 - The 'libvirtd' daemon has been started

 - You are member of the 'libvirtd' group


Libvirt URI is: qemu:///system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connection.py", line 1027, in _open_thread

    self.vmm = self._try_open()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connection.py", line 1009, in _try_open

    flags)

  File "/usr/lib/python2.7/dist-packages/libvirt.py", line 105, in openAuth

    if ret is None:raise libvirtError('virConnectOpenAuth() failed')

libvirtError: Failed to connect socket to '/var/run/libvirt/libvirt-sock':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전에는 spice-vdagent 때문에 이와 유사한 에러가 발생했으나, 이번에는 /var/log/spice-vdagent.log 파일에도 아무 변화가 없다. 다른 문제 때문에 발생한 것인데 원인을 찾지 못했다.

비슷한 증상은 여러 사람들이 겪고 있어서 인터넷에 검색이 되었는데 (https://github.com/mseknibilel/OpenStack-Grizzly-Install-Guide/issues/71), 별 기대를 안했지만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재시작 했더니 해결이 되었다. ㅡㅡ;


$ sudo /etc/init.d/libvirt-bin restart


일단 잘 되니까 다행인데, 현재로써는 시스템 업데이트 등 여러 작업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문제였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원격접속 대상 OS: Windows 10 (64-bit)

사용한 앱: FreeRDP


리눅스에서 윈도우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프로그램은 우분투의 경우 리미너(Remmina)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가 대표적이다. (성능상의 이유라기보다는, 우분투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데 리미너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는 듀얼모니터를 지원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즉 접속하는 리눅스에 모니터가 2개가 있더라도 원격 접속 윈도우 화면은 모니터 한 곳에만 표시된다.


그래서 다른 대안 앱을 확인해 보니, rdesktop과 FreeRDP가 있다. [1]

하지만 rdesktop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커다란(...) 단일 화면 해상도를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상상하는 듀얼 모니터(모니터 2개에 전체화면 프로그램들을 별도로 배치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23인치 모니터와 22인치 모니터 2개를 쓰는 내 컴퓨터 화면에서는 가로 약 3700픽셀 * 세로 약 1000픽셀 정도 되는 지나치게 넓적한 단일 화면을 볼 수 있었다. ㅡㅡ;;


그래서 FreeRDP를 알아본 결과, 2015년 9월 8일 현재 기준으로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자(apt-get install)로 설치하는 버전으로는 여전히 듀얼 모니터를 지원하지 않고, 다만 git-hub에 올라와 있는 최신 버전(1.1 series second technology preview 이후 버전)은 듀얼 모니터를 지원한다.


따라서 최신 버전의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수동으로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다.

소스코드 컴파일 및 설치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는 문서 [2]를 따라서 하면 된다:

https://github.com/FreeRDP/FreeRDP/wiki/Compilation



우분투(데비안 계열)를 위한 정보만 요약하면,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git-core cmake libssl-dev libx11-dev libxext-dev libxinerama-dev \

  libxcursor-dev libxdamage-dev libxv-dev libxkbfile-dev libasound2-dev libcups2-dev libxml2 libxml2-dev \

  libxrandr-dev libgstreamer0.10-dev libgstreamer-plugins-base0.10-dev libxi-dev libgstreamer-plugins-base1.0-dev


$ sudo apt-get install libavutil-dev libavcodec-dev



FreeRDP 소스코드의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 cmake -DCMAKE_BUILD_TYPE=Debug -DWITH_SSE2=ON .

$ make

$ sudo make install


그리고 /etc/ld.so.conf.d/freerdp 파일을 만들고 내용을 입력해서 저장한다:

/usr/local/lib/freerdp



이렇게 하면 xfreerdp 라는 이름의 앱 설치와 구성이 완료된다.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윈도우 머신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multimon 옵션이 바로 듀얼모니터(멀티 모니터) 설정이다.

$ xfreerdp /multimon /u:사용자_계정_이름 /v:원격_컴퓨터_주소:포트번호


예를 들어, 192.168.0.10 컴퓨터에 있는 윈도우7에 사용자 계정 SampleUser로 접속하고자 하면,

xfreerdp /multimon /u:SampleUser /v:192.168.0.10:3389




<출처>

[1] http://askubuntu.com/questions/441543/is-there-an-rdp-client-that-can-work-with-a-dual-monitor-setup

[2] https://github.com/FreeRDP/FreeRDP/wiki/Compilation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출처: T-TIMES,‘만성적인 미루기’ 게으른 게 아니라 불안장애

기사 원문: http://www.ttimes.co.kr/index.html?no=2015090715337712037


잠깐 페이스북을 하다가 보게 된 짧은 카드뉴스 기사인데, 공감하고 싶지 않았지만 공감을 하고 말았다.


그동안 나는 연구하면서 수시로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었는데, 그 중 대다수는 더 골똘히 생각해서 직면한 문제를 돌파하기보다는, 위의 링크된 뉴스기사에서 설명하듯이 부정적인 결과가 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할 일을 미루면서 단기적인 만족만을 추구하는 근시안적인 행동을 했었다. 그렇게 불안한 채로 시간을 한참 흘려보내다가 due date가 임박해서야 급하게 일처리를 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내가 이런 경험이 많다는 것은 어쩌면 나도 불안으로 인한 정서조절 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아닐까?

할 일이 있을 때 불안해하면서 놀던 경우도 있었고, 특이하게는 당장 중요하게 해야할 일을 내버려 두고, 중요하지 않고 덜 급한 쉬운 일부터 먼저 하는 비이성적인 결정을 한 적도 꽤 있었다.


내가 너무 도전에 조심스러운 것이 아닐까?

연구라는 것이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닌데, 약간의 progress밖에 만들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

그러한 진행 상황에 대해서 교수님과 토론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코멘트를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심지어 코딩을 하면서도 내가 지금 짜는 코드로 인해서 겪게 될 에러 메세지에 대한 두려움까지...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하는 태도가 필요한데, 이러한 매우 작은 단기적인 실패를 보고 싶지 않아서 무엇이든 처음부터 완벽하게 만들고 싶어했던 것은 아닐까?

그렇게 처음부터 대단한 것을 만들려고 고민하다 보면 내가 하는 일은 점점 더 크고 어렵게만 느껴지기 마련이고, 그러면 점점 더 그 일을 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면서 체념해 버리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내가 쓴 글이나 자료를 바로잡아 주시는 교수님의 코멘트무서운 것들이 아니고,

(교수님께서 직설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시기는 하지만 객관적으로 결코 폭언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약간의 에러 메세지를 쳐다보는 것 또한 그렇게 두려운 것이 아닌데,

너무 모든 일에 만전을 기하는 내 모습을 발견한다.


이 카드뉴스와 같은 내용을 다루는 한겨레신문의 기사(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611079.html)를 보면, "욕망과 기대를 완수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 일의 시작을 최대한 미루면서 자기에너지를 보존하려고 하게 된다 (하지현 정신과 전문의) - 기사 인용" 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꺼번에 해야 할 일들을 여러가지를 다 고민하느라 정신적으로 지치지 말고, 한번에 하나씩, 느리더라도 차근차근 하려는 마음을 가져야겠다. 일을 회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아주 작은 일들로 나눠서 조금씩 해 보고, 그렇게 작은 일을 한두 개 하고 나서 나에게 또한 작은 보상을 주는 식으로 천천히 극복해 나가야 하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KVM: 2.0.0 (qemu-system-x86_64)

Virt-manager: 0.9.5


위와 같은 상태에서 가상 머신(VM)을 만들고 Windows 8.1을 설치하였다. VM의 Display 설정을 VNC 대신 SPICE로 하였고, spicec (콘솔에서 실행하는 spice client)를 통해서는 접근이 잘 되었다.


그러나 virt-manager에서 VM 선택해서 확인하는 창에서는 VNC와 달리 볼 수 없었다. 그 이유는 "Cannot display graphical console type 'spice': No module named SpiceClientGtk" 라는 에러 메세지 때문이었는데, virt-manager와 연동해서 spice 서버의 화면을 보여줄 client 모듈이 없다는 것이었다.


virt-manager에서 spice 방식 display를 확인하기 위한 모듈은 spice-vdagent이고, 우분투에서도 apt-get install로 설치는 가능하지만, 문제는 Ubuntu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제공하는 버전을 설치하고 나면 virtio device를 찾지 못해서 virt-manager 자체가 실행이 안되는 버그가 있는 버전이라는 것이다. 로그 확인을 위해 /var/log/spice-vdagent.log 파일을 보면 아래처럼 에러 메세지가 찍혀 있다.

Sep 7 21:14:52.746986 spice-vdagent[2960]: Missing virtio device '/dev/virtio-ports/com.redhat.spice.0':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 문제는 아래 링크 페이지에 설명되어있다.

https://bugzilla.redhat.com/show_bug.cgi?id=1006205


확인해 보면 spice-vdagent-0.14.0-5.el7 이후 버전은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나오지만, 2015년 9월 7일 현재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apt-get install)를 통해서 설치되는 패키지는 spice-vdagent-0.14.0-1ubuntu1 이라서 아마도 위의 버그를 포함하는 것 같다.


따라서 2015년 9월 7일 현재로써는 최신 버전의 spice-vdagent를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아래 링크에서 spice-vdagent로 시작하는 압축파일을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고 설치 스크립트를 실행해서 설치한다.

http://www.spice-space.org/download/releases/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Desktop 14.04.2 LTS (64-bit)

Wordpress: version 4.3


Ubuntu Desktop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맨 처음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메모로 남긴다.


<준비물>

*인터넷 연결되어 있고 apt-get isntall 사용 또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사용이 가능해야 함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서 설치용 패키지 (zip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둔다.


1. Apache 설치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2. PHP 설치

$ sudo apt-get install php5

php5-common, php5-cli 등이 다같이 설치된다.


3. MySQL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4. PHP와 MySQL 연동

테스트는 못해봤지만, MySQL을 먼저 설치하고 나서 PHP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5-1. MySQL 계정 및 암호 설정

방금 설치를 끝낸 MySQL에는 root 암호가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지정한다.

$ mysql -u root 입력해서 로그인부터 하고,

> SET PASSWORD FOR root@localhost = PASSWORD('원하는 암호');


5-2. MySQL에 워드프레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생성

워드프레스 설정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부터 만들어야 한다. 그 다음에야 워드프레스에서 원하는 테이블 등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안그러면 데이터베이스 접근 에러 메세지를 보게 된다.

> CREATE DATABASE wp_database_sample



6. 워드프레스 기본값 설정

워드프레스 압축파일의 압축을 풀고 나오는 wordpress 디렉토리에 가서, wp-config-sample.php를 복사해서 wp-config.php 파일을 새로 만든다.

wp-config.php 파일을 열고, 앞부분에 MySQL settings 부분을 앞에서 설정한 대로 바꾼다.

define('DB_NAME', 'wp_database_sample');

define('DB_USER', 'root');

define('DB_PASSWORD', 'MySQL에서 설정한 root 계정 암호');



7. 워드프레스 디렉토리 복사(또는 옮기기)

2015년 9월 7일 기준으로, Ubuntu desktop 14.04(넓게 봐서 최근의 Debian 계열)에서는 사용자 웹페이지를 읽어들이는 디렉토리가 /var/www/html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방금 wp-config.php 파일을 만들었던 워드프레스 디렉토리 전체를 /var/www/html 에 복사한다.

$ sudo cp -R [워드프레스 압축을 푼 위치]/wordpress /var/www/html/


복사하고 나서 디렉토리의 사용자와 그룹을 변경한다.

$ sudo chown -R www-data:www-data /var/www/html/wordpress



8.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워드프레스 나머지 설정 진행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wordpress/ 주소를 입력하면 나머지 설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