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 Ubuntu Desktop 14.04.2 LTS (amd64)


우분투에서 .sh 파일을 더블클릭했을 때 실행되는 대신 gedit 텍스트 편집기가 뜬다면 dconf-editor로 설정을 변경한다.

우선 dconf-editor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콘솔에서 dconf-editor 를 실행하고,
org > gnome > nautilus > preferences 선택한 다음,
오른쪽에서 executable-text-activation 항목이 display로 되어 있는 것을 "launch"로 변경한다.


만약 그때그때 실행하거나 텍스트 파일 편집 목적이 다를 경우에는 "ask"를 선택한다.

dconf-editor를 종료하고 (별도의 저장 명령이 없으므로 그냥 종료하면 됨) .sh 파일을 더블클릭해 보면 실행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Desktop 14.04.2 LTS (amd64)

FreeRDP: 1.1.0-beta-2013071101


<NOTE> 

2016.08.24 현재 한영키 문제는 github에 있는 FreeRDP의 가장 최신 소스코드에서 해결되었다.

따라서 더이상 아래와 같이 굳이 베타 버전을 가져와서 직접 수정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만 그 대신 최신 버전에서 전체화면 모드가 출력이 잘 안되는 듯한 버그가 있어 보이지만...)


* FreeRDP github 주소: https://github.com/FreeRDP/FreeRDP



FreeRDP는 현재 최신 버전(1.1.0-beta)에서도 한영키와 한자키가 작동하지 않는다.

한영키를 누르면 "Unknown key with X keycode 0x82", 

한자키를 누르면 "Unknown key with X keycode 0x83"

이러한 에러 메세지가 콘솔창에 표시된다.


FreeRDP의 최신 버전을 소스코드 컴파일을 통해서 설치했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키보드 입력을 RDP keycode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한영키와 한자키는 매핑된 키 정보가 없어서 키 입력이 누락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영키와 한자키 입력에 대해서 올바른 RDP keycode 매핑이 있도록 연결만 해 주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이를 위해 소스코드를 아래와 같이 고쳐 준다.


대상 파일: libfreerdp/locale/keyboard_xkbfile.c (line 51)

XKB_KEY_NAME_SCANCODE XKB_KEY_NAME_SCANCODE_TABLE[] =

{

{ "BKSP", RDP_SCANCODE_BACKSPACE},

{ "TAB", RDP_SCANCODE_TAB},

{ "RTRN", RDP_SCANCODE_RETURN}, // not KP

{ "LFSH", RDP_SCANCODE_LSHIFT},

...


위와 같이 51라인 쯤에 있는 XKB_KEY_NAME_SCANCODE_TABLE 배열에 아래 두 항목을 추가한다.

{ "HNGL", RDP_SCANCODE_KANA_HANGUL},

{ "HJCV", RDP_SCANCODE_HANJA_KANJI}


keyboard_xkbfile.c 소스코드 파일:

keyboard_xkbfile.c



혹시 freerdp (xfreerdp)가 실행중이면 종료한 다음, 소스코드 최상위 폴더로 가서 아래와 같이 새로 빌드하고 설치한다.

$ make

$ sudo make install


(참고) FreeRDP 소스코드에서 설치하는 방법: http://skylit.tistory.com/158


다시 freerdp (xfreerdp)를 실행하면 한영키, 한자키가 작동할 것이다.

$ xfreerdp /u:사용자계정 /v:원격컴퓨터주소:포트번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KVM에서 이미 만들어 둔 가상 머신의 디스크 크기(즉, img 파일의 크기와 직결)를 바꾸고 싶을 때 (일반적으로는 늘리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하면 쉽게 된다.


디스크 크기를 변경할 VM을 종료하고 나서, VM 이미지 파일이 있는 곳으로 간다.

이미지 파일 위치는 우분투의 경우 /var/lib/libvirt/images/ 이다.

또는 virt-manager GUI에서 VM 정보 확인하는 창에서 Disk 항목을 선택해서 볼 수도 있다.




해당 디렉토리는 루트 권한이 없으면 열람이 안되기 때문에 루트 계정을 써서 접근한다.

$ cd /var/lib/libvirt/images

$ sudo su

# qemu-img resize [크기 조정할 이미지파일 이름.img] +100G

Image resized.

#


이렇게 설정하고 VM의 디스크 정보를 확인해 보면 용량이 100GB 늘어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윈도우 계열(윈도우xp, 7, 8, 10)의 경우 이미지가 늘어나더라도 내 컴퓨터에서 하드디스크를 보면 늘리기 전의 용량으로 되어 있을 텐데, "디스크 관리자"를 이용해서 파티션을 확장해 줘야 한다. (http://skylit.tistory.com/67 참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Virtual Machine Manager 0.9.5-1ubuntu3

KVM: 미확인 (sudo apt-get install kvm 으로 2015년 9월 초에 설치)


우분투에서 virt-manager를 통해서 가상머신을 관리하다가, 시스템 관련 중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한 차례 하고 재부팅을 하고 나서 한동안 PlayOnLinux 를 통해서 한컴오피스 2014를 설치하였다.


그러고 나서 가상 머신을 켜기 위해 virt-manager를 실행했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왔다:

Unable to connect to libvirt.


Verify that:

 - The 'libvirt-bin' package is installed

 - The 'libvirtd' daemon has been started

 - You are member of the 'libvirtd' group


Libvirt URI is: qemu:///system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connection.py", line 1027, in _open_thread

    self.vmm = self._try_open()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connection.py", line 1009, in _try_open

    flags)

  File "/usr/lib/python2.7/dist-packages/libvirt.py", line 105, in openAuth

    if ret is None:raise libvirtError('virConnectOpenAuth() failed')

libvirtError: Failed to connect socket to '/var/run/libvirt/libvirt-sock':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전에는 spice-vdagent 때문에 이와 유사한 에러가 발생했으나, 이번에는 /var/log/spice-vdagent.log 파일에도 아무 변화가 없다. 다른 문제 때문에 발생한 것인데 원인을 찾지 못했다.

비슷한 증상은 여러 사람들이 겪고 있어서 인터넷에 검색이 되었는데 (https://github.com/mseknibilel/OpenStack-Grizzly-Install-Guide/issues/71), 별 기대를 안했지만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재시작 했더니 해결이 되었다. ㅡㅡ;


$ sudo /etc/init.d/libvirt-bin restart


일단 잘 되니까 다행인데, 현재로써는 시스템 업데이트 등 여러 작업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문제였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OS: Ubuntu 14.04.2 LTS (amd64)

원격접속 대상 OS: Windows 10 (64-bit)

사용한 앱: FreeRDP


리눅스에서 윈도우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프로그램은 우분투의 경우 리미너(Remmina)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가 대표적이다. (성능상의 이유라기보다는, 우분투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데 리미너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는 듀얼모니터를 지원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즉 접속하는 리눅스에 모니터가 2개가 있더라도 원격 접속 윈도우 화면은 모니터 한 곳에만 표시된다.


그래서 다른 대안 앱을 확인해 보니, rdesktop과 FreeRDP가 있다. [1]

하지만 rdesktop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커다란(...) 단일 화면 해상도를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상상하는 듀얼 모니터(모니터 2개에 전체화면 프로그램들을 별도로 배치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23인치 모니터와 22인치 모니터 2개를 쓰는 내 컴퓨터 화면에서는 가로 약 3700픽셀 * 세로 약 1000픽셀 정도 되는 지나치게 넓적한 단일 화면을 볼 수 있었다. ㅡㅡ;;


그래서 FreeRDP를 알아본 결과, 2015년 9월 8일 현재 기준으로는 우분투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자(apt-get install)로 설치하는 버전으로는 여전히 듀얼 모니터를 지원하지 않고, 다만 git-hub에 올라와 있는 최신 버전(1.1 series second technology preview 이후 버전)은 듀얼 모니터를 지원한다.


따라서 최신 버전의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수동으로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다.

소스코드 컴파일 및 설치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는 문서 [2]를 따라서 하면 된다:

https://github.com/FreeRDP/FreeRDP/wiki/Compilation



우분투(데비안 계열)를 위한 정보만 요약하면,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git-core cmake libssl-dev libx11-dev libxext-dev libxinerama-dev \

  libxcursor-dev libxdamage-dev libxv-dev libxkbfile-dev libasound2-dev libcups2-dev libxml2 libxml2-dev \

  libxrandr-dev libgstreamer0.10-dev libgstreamer-plugins-base0.10-dev libxi-dev libgstreamer-plugins-base1.0-dev


$ sudo apt-get install libavutil-dev libavcodec-dev



FreeRDP 소스코드의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 cmake -DCMAKE_BUILD_TYPE=Debug -DWITH_SSE2=ON .

$ make

$ sudo make install


그리고 /etc/ld.so.conf.d/freerdp 파일을 만들고 내용을 입력해서 저장한다:

/usr/local/lib/freerdp



이렇게 하면 xfreerdp 라는 이름의 앱 설치와 구성이 완료된다.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윈도우 머신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multimon 옵션이 바로 듀얼모니터(멀티 모니터) 설정이다.

$ xfreerdp /multimon /u:사용자_계정_이름 /v:원격_컴퓨터_주소:포트번호


예를 들어, 192.168.0.10 컴퓨터에 있는 윈도우7에 사용자 계정 SampleUser로 접속하고자 하면,

xfreerdp /multimon /u:SampleUser /v:192.168.0.10:3389




<출처>

[1] http://askubuntu.com/questions/441543/is-there-an-rdp-client-that-can-work-with-a-dual-monitor-setup

[2] https://github.com/FreeRDP/FreeRDP/wiki/Compilation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