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산학/컴퓨터공학 분야에서 해외 포닥(Postdoctoral researcher) 포지션을 찾기 위해 링크드인(LinkedIn)과 리서치게이트(ResearchGate)를 활용하고 있다.

링크드인이 세계 최대의 구인/구직 소셜 네트워크라서 당연히 유용한 포지션을 쉽게 찾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포닥 자리는 ResearchGate에서 검색한 결과가 더 유용하게 느껴진다. 원래 연구 내용을 공유하는 포털이다 보니 (물론 출판된 논문에 대한 저작권의 경계선을 아슬아슬하게 걸어가는 줄타기를 하기도 하지만...) 연구와 관련된 job description의 비중이 더 많아서 그럴 것이다. 연구에 한정된 직업보다 일반 회사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숫자와 비중이 훨씬 높으니까 링크드인에서는 검색 조건을 포닥으로 맞추더라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포지션이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어쨌든 두 사이트를 이용해서 미국보다는 EU 지역을 중심으로 포닥 포지션을 찾아보고 있었는데, 최근 인기가 많은 연구 트렌드가 무엇이고 어디에 돈이 많이 투자되는지 대략 알 수 있다. 너무나 당연하지만, 여전히 인공지능/머신러닝 분야가 가장 인기가 많다. 아직까지는 전세계적인 구인난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머신러닝(사실 엄밀하게 말하면 딥러닝 관련된 머신러닝에 한정됨) 기술 보유자를 찾는 공고가 많다. 페이스북에서도 포닥을 뽑길래 job description을 살펴 보니, CVPR, NIPS, AAAI, ICML과 같은 탑 레벨 국제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인공지능 쪽 박사만 뽑는다고 적혀 있었다.

엣지 컴퓨팅 분야도 사실은 컴퓨팅 자원을 상당히 많이 요구하는 실시간 비디오 분석과 같은 서비스를 빠른 시간 내에 지원하기 위해서 탄생했기 때문에, 머신러닝 관련 작업을 시기적절하게 실행해야 하는 시나리오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소한 머신러닝 관련 기술을 엣지 컴퓨팅 서버에 올려서 돌려볼 줄 아는 사람을 요구하고 있다.

5G를 필두로 하는 네트워크 분야의 포닥 포지션은 생각보다 많이 검색되지 않았는데, 일부러 검색 결과에서 덜 나오게 되는 것인지 실제로 자리가 적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내 프로필을 기준으로 한다면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된 연구 결과 때문에 오히려 검색 결과 상위에 많이 나올 법도 한데 체감되는 검색 결과는 소프트웨어 공학을 연구한 박사 포지션보다도 적게 느껴지는 것을 보면 실제로 자리가 많지 않은 것일 지도...


아직은 약 한 달 동안만 틈틈이 검색해 본 결과를 바탕으로 느낀 점이라서 실제 현실과는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애초에 포닥 포지션 공고 자체를 자기네 연구 기관 홈페이지에만 올려 두고 구인/구직 포털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국, 일일이 내가 갈 수 있을 만한 연구기관 홈페이지를 하나하나 다 들어가면서 열심히 발품을 팔아야 한다.

올해 상반기 동안에는 좋은 포지션이 나왔으면... 그리고 무엇보다 그 동안 꼭 내 박사학위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논문 한 편은 만들 수 있기를 다짐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링크드인(LinkedIn) 계정은 오래 전부터 만들었지만, 대략 2년여 전부터 프로파일 페이지를 본격적으로 관리하면서 Skill이나 각종 실적들업데이트하고 있다. 주로 학교 동료, 교수님들, SNS 친구들, 동종 업계 사람들 위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는데, 여기에 예외적으로 네트워크에 추가되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헤드헌터들이다.


링크드인 자체가 잘 정리되어 있고 검색이 용이한 인력 시장이라서 헤드헌터들이 많이 활동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하지만 내 계정에 지인이나 관련 분야 사람이 아닌 헤드헌터들로부터 연결 요청이 들어오면 매번 이들을 인맥에 추가해야 할 지 잠시 고민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그동안 꽤 많은 헤드헌터들의 연결 요청이 들어왔었고, 초반에는 그 요청을 거의 다 수락했었지만, 그 중에서 실제적으로 채용과 관련된 얘기가 진행된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작년에 딱 두 번 있었다. 다만 작년에는 내가 여전히 박사과정 졸업이 가시적이지 못했기 때문에 채용을 진행할 수가 없었던 기억이 있다.


아마 헤드헌터들 입장에서는 담당 분야의 여러 인력들에 대한 풀(pool)을 형성해 뒀다가, 그때 그때 회사에서 필요로 할 때 인력을 빠르게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맥을 추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내가 헤드헌터들과 연결이 되고 나서도 그들과 거의 소통할 일이 없고(헤드헌터 쪽에서 채용 정보를 제시하지 않는 이상) 그들의 활동이 링크드인 페이지의 타임라인 상에서 나에게 도움을 주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적어도 나와 관련된 분야의 학생들이나 동료들이 올리는 정보성 글과 그들의 프로파일 변화는 나에게 직/간접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따라서 이미 내 인맥에 여러 명의 헤드헌터가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내가 보기에 그들과 유사한 또다른 헤드헌터가 연결을 요청해 오면, 그 새로운 사람을 추가하는 것이 과연 나에게 어떤 효용이 있는지 회의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내 인맥이 실제 연구/업무 분야의 사람들이 아닌 헤드헌터들로 구성되는 비중이 자꾸만 커지는 것이 (이러한 구성이 피해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 어색한 기분이 드는 측면도 있다.


물론 헤드헌터들 중에서 어떤 분은 링크드인에서 꾸준히 활동하시면서 채용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직접 포스팅함으로써 내 타임라인에서도 그러한 유용한 정보 글을 볼 수 있어서 도움이 되는 사례도 있으나, 지금껏 내 인맥에 추가된 수십 명의 헤드헌터들 중에서 딱 한 분만 그렇게 하고 계신다. 그리고 그렇게 꾸준히 활동하시는 분이 바로 나에게 채용 정보를 제안하셨던 분이기도 하다. 이 분은 프로파일 페이지도 다른 헤드헌터들과는 달리 예사롭지 않았고, 아주 전문적으로 느껴졌었다. 아마도 내가 헤드헌터에게 먼저 채용 관련 요청을 해야 한다면 이분께 메세지를 보낼 것이다.


그리고 사실 내 링크드인 프로파일은 굳이 나와 연결을 맺지 않더라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아마 정말로 나에게 제안할 만한 채용 정보가 있다면 단순한 연결 요청만 하는 것이 아니라 메세지를 남기거나 채용 요청할 때 어떤 구체적인 언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 말 없이 연결 요청만 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내 입장에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조만간 학생 신분을 벗어나서 실제 업무를 시작하면, 아마 나중에 더 많은 사람들과 연결할 수 있고, 그 때가 되어야 헤드헌터들의 실제적인 도움도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러므로 일단은 링크드인 네트워크는 지금 정도 수준에서 유지하고 연구실적을 키우는 데 더 노력해야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