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링크드인 프로필을 틈틈이 고치다 보면 헤드헌터나 HR로부터 콜드메일을 종종 받는다. 그 중 특이했던 경험을 기록으로 남겨보려 한다.

 

누구나 아는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분야 미국 테크기업 A사의 한국 지사에서 HR 담당자가 Senior Data Center Network Technician이라는 JD와 함께 콜드메일을 보내 왔다. 내가 그 직무에 매우 적합해 보인다며 긍정적인 검토를 바란다면서.

그런데 직무 이름에 엔지니어가 아닌 테크니션이 적혀 있어서 기분이 좀 쎄했지만, 미국에서 일한 적이 없다 보니 그래도 뭔가 미국 테크기업에서 배울 점이 있고 성장의 기회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기대감(결국 헛된 희망)이 있어서, 궁금증을 못 이기고 HR과 전화통화를 했다.

결론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직무였다. 예상대로 테크니션 타이틀은 그 어떤 창의적이거나 주체적인 일을 할 수 없고, 오로지 다른 엔지니어/아키텍트가 설계해 놓은 내용을 그대로 설치만 하는 단순/반복 업무였다. 혹시나 기획/설계/개발 같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지 물어봤지만 못 한다고... 그러면 일단 테크니션으로 입사해서 엔지니어나 아키텍트로 업무를 변경할 수도 있는지 물어봤는데 그것도 안 된다고 한다.

더 놀라운 건 연봉 밴드가 지금 다니는 국내 대기업의 원천징수 소득보다도 낮다는 점이었다. 요즘 회사 상태가 나빠서 인센티브가 줄어들어서 그 수준으로 희망연봉을 불렀는데도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고... 회사가 정해 놓은 연봉 밴드의 최상단 어쩌구 저쩌구라며 말을 길게 하던데, 결국 희망연봉을 못 맞춰 준다는 의미겠지.

 

헤드헌터가 잘 모르고 엉뚱한 직무를 소개하는 것은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그 외국계 기업에 정식 소속된 HR 담당자가 해당 분야를 연구한 박사에게 고졸도 할 수 있는 단순노무직을 적극 추천한 이유가 무엇일지 잠시 고민했었다. (사실 그냥 검색에 걸려서 콜드메일 수신처에 포함됐을 테니 절대 깊게 생각할 필요조차 없다.) 한편으로는 내가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시점에 국내 대기업 HR로부터 제안을 받았을 때의 경험이 나쁘지 않았어서 (의외로 내 연구분야에 근접하는 직무를 잘 소개해 줬었다.) 외국계 HR에게 더 많은 기대를 했던 것 같다.

통화 후 얻은 교훈은,

  • 링크드인에서 키워드 검색에 걸려든 사람들에게 무지성으로 뿌리는 콜드메일에 너무 의미부여 하지 말자.
  • HR은 생각보다 직무 적합성을 잘 모른다. 
    (그래도 박사한테 테크니션을 추천하는 HR은 반성이 필요하다.)
  • 외국계 회사의 job title의 차이를 미리 이해해 두자.
    (테크니션, 엔지니어, 아키텍트, 리서처는 서로 차이가 있고, pre-sales/customer 같은 수식어가 있으면 영업직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시간이 지날 수록, 인터넷에서 내가 참고할 만한 커리어 경로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려워진다. 넓게 보면 사기업에 취업한 공학 박사의 성장 경로 혹은 이직 경로와 사례는 차고 넘치지만, 구체적으로 내가 공부/연구했던 분야나 내가 지금 하는 일에 맞춰서 필터링하면, 회사에서 일하는 경험이 쌓여갈 수록 점점 내가 참고할 만한(솔직하게는 내가 따라가고 싶은) 커리어 경로에 대한 경험담이나 사례를 찾기 어려워지는 기분이다. 나는 예측 가능한 삶을 원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미 지나가면서 표준화(?) 된 커리어 경로와 노후의 모습을 예측하기는 어려워졌다.

마치 게임을 할 때, 한국인 특유의 "최적의 공략법"부터 찾아내서 그것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처럼, 나도 내 인생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안심하며 따라가고 싶은 어떤 인생의 공략법을 찾아 헤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마음이 있다.

 

"남들 다 하는 대로." 

나도 전형적인 한국인이기에, 이 말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싶어한다. 언제 어떤 사회적 위치에 이르러서 언제 결혼하고 어디서 살고 언제 자녀를 낳아서 어떻게 키우고 등등... 바로 이 전형적인 "남들"의 삶에 맞추고 싶은 마음이 자꾸 생기는 이유는 내가 여전히 자존감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 내 삶은 그런 표준화된 "남들"을 따라가기에는 너무 달라졌다. 2010년대의 관점에서 평균 초혼 연령과 전혀 맞지 않는 이른 나이에 결혼했고, 남들이 보통 자녀를 낳는 조건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서 첫째를 낳았고, 지금은 대한민국이 멸망할 것만 같은 합계출산율을 찍는 상황에서 그 평균치를 아득히 벗어난 아웃라이어가 되어 세자녀를 키우고 있으니, 이미 내가 생각하는 "남들"의 이미지는 내 앞길에서 거의 다 사라졌다.

이제 내 인생에 대해 남들의 시선과 평가를 찾지 말고 오직 내 스스로 나를 평가하며 앞길을 개척해야 한다. 용기를 내고 자존감을 높여야 하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