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크드인 프로필을 틈틈이 고치다 보면 헤드헌터나 HR로부터 콜드메일을 종종 받는다. 그 중 특이했던 경험을 기록으로 남겨보려 한다.
누구나 아는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분야 미국 테크기업 A사의 한국 지사에서 HR 담당자가 Senior Data Center Network Technician이라는 JD와 함께 콜드메일을 보내 왔다. 내가 그 직무에 매우 적합해 보인다며 긍정적인 검토를 바란다면서.
그런데 직무 이름에 엔지니어가 아닌 테크니션이 적혀 있어서 기분이 좀 쎄했지만, 미국에서 일한 적이 없다 보니 그래도 뭔가 미국 테크기업에서 배울 점이 있고 성장의 기회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기대감(결국 헛된 희망)이 있어서, 궁금증을 못 이기고 HR과 전화통화를 했다.
결론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직무였다. 예상대로 테크니션 타이틀은 그 어떤 창의적이거나 주체적인 일을 할 수 없고, 오로지 다른 엔지니어/아키텍트가 설계해 놓은 내용을 그대로 설치만 하는 단순/반복 업무였다. 혹시나 기획/설계/개발 같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지 물어봤지만 못 한다고... 그러면 일단 테크니션으로 입사해서 엔지니어나 아키텍트로 업무를 변경할 수도 있는지 물어봤는데 그것도 안 된다고 한다.
더 놀라운 건 연봉 밴드가 지금 다니는 국내 대기업의 원천징수 소득보다도 낮다는 점이었다. 요즘 회사 상태가 나빠서 인센티브가 줄어들어서 그 수준으로 희망연봉을 불렀는데도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고... 회사가 정해 놓은 연봉 밴드의 최상단 어쩌구 저쩌구라며 말을 길게 하던데, 결국 희망연봉을 못 맞춰 준다는 의미겠지.
헤드헌터가 잘 모르고 엉뚱한 직무를 소개하는 것은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그 외국계 기업에 정식 소속된 HR 담당자가 해당 분야를 연구한 박사에게 고졸도 할 수 있는 단순노무직을 적극 추천한 이유가 무엇일지 잠시 고민했었다. (사실 그냥 검색에 걸려서 콜드메일 수신처에 포함됐을 테니 절대 깊게 생각할 필요조차 없다.) 한편으로는 내가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시점에 국내 대기업 HR로부터 제안을 받았을 때의 경험이 나쁘지 않았어서 (의외로 내 연구분야에 근접하는 직무를 잘 소개해 줬었다.) 외국계 HR에게 더 많은 기대를 했던 것 같다.
통화 후 얻은 교훈은,
- 링크드인에서 키워드 검색에 걸려든 사람들에게 무지성으로 뿌리는 콜드메일에 너무 의미부여 하지 말자.
- HR은 생각보다 직무 적합성을 잘 모른다.
(그래도 박사한테 테크니션을 추천하는 HR은 반성이 필요하다.) - 외국계 회사의 job title의 차이를 미리 이해해 두자.
(테크니션, 엔지니어, 아키텍트, 리서처는 서로 차이가 있고, pre-sales/customer 같은 수식어가 있으면 영업직이다.)
'Life > 회사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점 참고할 만한 커리어 경로가 줄어드는 느낌 (0) | 2025.02.06 |
---|---|
임원을 목표로 해야 할까? (4)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