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랫동안 쓰던 우리 V카드를 해지하기로 했다. 그 이유는 우리카드에서 훨씬 많은 혜택을 갖고 있는 (물론 그만큼 연회비도 비싼) 프리미엄 카드 설득당해서(?) 블루 다이아몬드 카드로 갈아타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블루다이아몬드 카드 설명은 이곳(http://go-day.tistory.com/48) 또는 우리카드 홈페이지의 "카드안내,신청 > 혜택별 카드안내,신청 > 프리미엄카드"에 잘 설명되어 있다.


우리 V카드는 매우 값싼 연회비(5,000원)와 특별할 것 없는 혜택들로 구성되어 있고, 말그대로 신용카드 그 자체가 필요했던 시절에 만들어서 쓰고 있었다. 그런데 매달 고정적으로 쓰이는 생활비와 평소의 소비 패턴을 고려해 봤을 때, 기왕이면 비슷한 양의 소비를 하면서 더 많은 적립 혜택과 할인 혜택을 누리는 것이 나을 것 같았다.


그리고 블루다이아몬드 카드에서 매년 주는 기프트 바우처 중에서 CJ ONE 포인트 10만점 또는 신세계상품권 8만원 둘 중에 하나만 써도 연회비(10만원)를 거의 상쇄하면서 내 생활패턴에서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기에, 길게 고민할 것 없이 갈아타기로 결정했다.


사실 카드 해지라는 절차에 대해서 개인적으로는 편했던 기억이 없었기에, 이번에 우리 V카드를 해지하려고 마음을 먹었을 때에도 온갖 복잡한 절차가 있을 지도 모른다는 각오(?)를 했었다.


하지만 웬걸, 아주 쉽게 해지가 되어 버렸다. (...)

그저 업무시간대(주말,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9시~오후6시 사이)에 우리카드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고, 

카드 해지 메뉴에 들어가서 해지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하고,

본인 인증(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 정보와 함께 확인을 누르면

냥 해지 신청이 끝이 난다.


카드를 해지하기 어렵게 메뉴를 꽁꽁 숨겨두지도 않았고,

해지하는 과정에서 것저것 묻지도 않고,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몇 년 전 타사의 경우, 카드 해지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화를 걸어서 키패드로 일일이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상담원과 몇 차례 확인을 거친 후에 또 상담원의 '해지를 하지 말라'는 마지막 설득을 뚫고 나서야 해지가 되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카드 해지 신청" 페이지에 진입하면, 더이상의 페이지 전환이나 "정말 해지하겠습니까?"와 같은 쓸데없는 추가 질문도 없이 그 자리에서 '확인' 버튼 한번 누르면 깔끔하게 해지신청 처리가 되었다.



설명할 것도 없지만, 참고용으로 절차를 설명하면:


1. 메인 페이지에서 "전체메뉴" > "분실신고/재발급/해지" > "카드해지/취소" 선택



2. 해지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하고, 인증절차(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를 거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끝난다.



공인인증서를 비롯해서 액티브X 또는 EXE 플러그인 등등(이건 끝판왕 수준이라서 정부가 제대로 좀 해줘야 하는데 ㅜㅜ) 아직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겠지만, 이렇게 소소하게나마 사용자 편의가 좋아져 가는 점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환영할 일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이 글은 2014년 2월 17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


신한카드는 신용거래정보(신용개설, 신용조회 등)와 신용연체정보(채무불이행 등), 실명확인 발생 및 차단 건수를 매월 요약해서 알려 주는 "정보보호서비스(My-infoguard)"가 있다. 신용정보회사인 NICE평가정보(주)와 협력해서 제공하고 있다.


각종 신용정보 변동, 조회, 실명확인 기록을 매월 이메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신한카드 정보보호서비스 월별 이메일 예시.

주황색 박스는 사용자의 이름과 각종 조회, 발생 건수를 가리기 위해 붙였다.)



신한카드 정보보호서비스(My-infoguard)의 요금은 월 정액 900원이며, 우선 마이신한포인트로 결제된다. 만약 포인트가 부족하면 카드결제로 요금이 청구된다. 신규 신청 시 3개월 간 무료로 서비스 이용할 수 있고, 4개월째부터는 유료로 전환된다.


만약 본 서비스에 대해서 그다지 유용성을 느끼지 못해서 해지하고자 한다면 신한카드 홈페이지를 통해서 아래와 같은 순서에 따라 간편하게 해지할 수 있다.


(1) 신한카드 홈페이지에 로그인한다.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을 추천한다.)



(2) 상단의 메뉴에서 "서비스" - "편의서비스" - "안심서비스" - "정보보호서비스"를 선택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마우스로 메뉴 이름을 하나씩 클릭하면 찾을 수 있다.



(3) 정보보호서비스 페이지에서 아래 화면과 같이 "해지" 탭을 클릭한다.



(4) 해지 페이지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입력 후 "확인"을 누른다. 해지에 필요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 카드번호 (가입한 모든 카드의 번호가 드롭다운 메뉴로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선택한다.)

 - 카드 비밀번호

 - 카드 고유식별번호 (카드 뒷면에 적힌 세 자리 숫자)



(5) 해지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안내 페이지를 볼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
반응형

최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에 대응하는 상품으로 우리카드를 비롯한 각종 카드사에서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이들은 주로 개인정보 사용 내역을 살펴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기본이고, 좀더 발전하면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영역을 다른 번호(카드사 전화번호 등)로 대체해 준다. 예를 들어, 우리카드 신용안심플러스에 가입하면 차 앞유리에 노출시키는 휴대전화 번호를 아래 사진과 같이 자사의 신용안심플러스 전용 번호로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 전면 유리에 위와 같은 스티커를 운전자의 휴대전화 번호 대신 공개할 수 있다. 차주와 연락하고 싶을 때 
먼저 위 번호로 전화를 걸고, 차 번호 6자리를 입력함으로써 차주와 통화연결을 할 수 있다.)


처음에 텔레마케터를 통해서 안내를 받을 때는 신용안심플러스 서비스의 혜택과 함께 60일 간 무료로 쓰는 것처럼 안내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60일 이내에 청약철회를 하지 않으면 가입 직후부터의 사용분을 모두 결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충분한 고민 없이, 60일 전에 해지하면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신용안심플러스에 쉽게 가입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 가입한 사실을 잊고 지내다 보면 무료사용기간이 끝나고 61일째부터는 가입하고 나서 사용한 전체 기간에 대해서 매월 3,300원의 요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2014년 2월 6일 추가) 댓글에도 있지만 정말 어이없는 사실은, 60일의 무료사용 기간을 넘기고 나서 해지 신청을 하면 전체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청구한다는 것이다. 즉, 70일을 쓰면 60일 무료사용 후 10일치만 요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70일 전체의 요금을 다 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카드사에서는 최소한 60일 이후에 유료로 전환된다는 안내도 해주고, 60일까지의 사용량에 대한 요금 청구는 하지 않는데 우리카드처럼 큰 회사가 이따위 비매너로 서비스를 한다니 정말 실망스럽다. 이쯤 되면 괘씸죄 때문에라도 3,300원씩 투자해서 써볼 만한 일말의 가치가 없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어떤 사용자들에게는 분명히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겠지만, 텔레마케터의 안내를 받고 충분히 심사숙고할 시간 없이 가입했다면 해지하는 방법을 기억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신용안심플러스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1899-4637로 전화를 걸어서 (평일 09시~18시) ARS의 안내에 따라서 해지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


(2014년 11월 현재) 1899-4637에 전화를 걸면, ARS에서 맨 먼저 사용자 확인을 위해 주민번호 13자리 입력을 요구한다(개인정보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변경된 듯 하다) 생년월일 6자리 입력을 요구한다. 입력 후 신용안심플러스 관련 상담은 1번을 누르라는 안내가 나온다. 1번을 누르면 상담원 연결 절차가 진행되고, 연결된 후에는 통화내용이 녹음된다.

상담원에게 신용안심플러스를 해지하겠다고 말하면 "그래도 계속 써 보는 게 어떤지"에 대한 잠깐의 설득(?) 과정이 진행되고, 단호하게 해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면 해지 절차를 진행해 준다. 이 때 상담원이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와 이름을 한번 더 확인한 후에 그 자리에서 즉시 해지시켜 준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ryan_

,